#: locale=ko ## Tour ### Description ### Title tour.name = sample ## Skin ### Button Button_7071B2CB_7D9B_82D1_41A4_56FF4134157D.label = 위치 Button_7071B2CB_7D9B_82D1_41A4_56FF4134157D.pressedLabel = Location Button_7DB31382_7065_343F_41D6_641BBE1B2562.label = 소개 Button_7DB33382_7065_343F_41B1_0B0F019C1828.label = VR 갤러리 Button_7DB35382_7065_343F_41C5_CF0EAF3E4CFF.label = 위치 Button_7DB35382_7065_343F_41C5_CF0EAF3E4CFF.pressedLabel = Location Button_7DB37382_7065_343F_41CC_EC41ABCCDE1B.label = 둘러보기 Button_7DBC8382_7065_343F_4183_17B44518DB40.label = 관련사진 Button_7DBCA382_7065_343F_41DB_48D975E3D9EC.label = 옛 지도로보는 미국공사관 Button_AE65F4BE_86AE_E6F0_41DD_E190127E6DA8.label = BIM Button_AE65F4BE_86AE_E6F0_41DD_E190127E6DA8.pressedLabel = BIM ### Multiline Text HTMLText_062AD830_1140_E215_41B0_321699661E7F.html =
______
미국공사관
◦ 지 정 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2호


◦ 지 정 일 : 2001년 04월 06일


◦ 분 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 근대정치국방


◦ 수 량 : 건물 1동


◦ 소 재 지 : 서울 중구 덕수궁길 83


◦ 시 대 : 조선시대



미국공사관은 미국이 1884년에 조선왕조로 부터 사들인 것으로 조선왕실이 외국인에게 매각한 최초의 부동산이다. 또 전 세계 각국에서 미국 정부가 대사관저로 갖고 있는 부동산 가운데 가장 오래된 곳이다. 서울에 있는 각국 대사관저 가운데 한국 고유의 가옥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 일제식민통치, 1·2차 세계대전, 6·25전쟁을 겪으면서도 이 낡은 건물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정동의 옛 공사관은 그대로 보존되었다. 1950년 9월28일 서울 수복 당시 정동의 미국대사관에 성조기를 다시 게양하고 계속 해서 사용하였다. 130년에 가까운 세월이 흐른 오늘날에까지 미국공사관은 매우 드물게도 여전히 같은 자리에 건재하다.


1884년 8월 미국 대사관의 기록을 보면 민씨 가문 소유인 이웃한 부동산 두 곳을 당시 금액으로 미화 2200달러에 ‘부덕공사’가 사들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때 한 건물은 관저로 사용하고, 다른 한 건물은 공사관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푸트 공사는 당연히 미 의회가 건물을 매입하는 데 필요한 예산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그러나 1884년 미국 의회가 이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휴회하자 푸트 공사는 자신이 직접 돈을 지불하고 본인 명의로 부동산을 매입했다. 미 의회는 1887년이 되어서야 부동산 매입 예산을 책정하여 지급했다. 같은 해 9월, 푸트 공사는 자신이 사들인 부동산을 미화 4400달러에 미국 정부에 넘긴다는 증서를 발급했고, 1888년 3월8일 한성부(Seoul City Office)는 이 부동산이 ‘영구히’ 미국 정부에 매각되었음을 기록한 증서를 발급했다. 푸트 공사가 1884년 매입한 건물은 현재 하비브하우스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기록에 따르면 이후 미국 공사관은 1890년 6월에 민씨 가문 하인 소유의 야채밭이던 땅을 일괄적으로 사들여 터를 더 넓혔다. 1948년 9월20일, 주한미국대사관은 한국정부로부터 미화 14만9345달러88센트에 부동산 세 군데를 더 사들였다. 현재 이곳은 미대사관 부대사, 정무참사관 등이 관저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미국공사관은 푸트 공사 이래로 줄곧 사용해왔던 한옥 구조의 미국공사관 건물을 부분적인 개조는 여러 차례 있어왔지만, 1883년 당시의 외관이 상당 부분 남아 있고, 서울 사대문 안에 세워진 최초의 외국공사관 건물이라는 점, 그 후 일제강점기 미국영사관 시절은 물론이고 오늘날에도 계속 같은 장소에서 위치하고 있다는 점, 또 외교 건물로는 유일하게 한국 건축양식이 남아있어 그 가치가 인정되는 건물이다. 본 건물은 1883년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건물은 처음 전통한옥으로 지어졌다가 1900년경 부분적으로 수리했으며 내부도 일부 개조했다. 1883년부터 1905년까지는 한국 내 미국정부 사무소로 사용했다. 1952년 을지로에 새 미국대사관이 준공된 뒤로는 대사관저로만 사용했다. 1976년 5월에는 전통한옥양식에 따라 새로운 미국대사관저를 신축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세상에 ‘하비브 하우스(Habib House)’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건물이다. 그 사이에 예전의 미국공사관 건물은 ‘게스트 하우스’로 용도가 바뀌었으며, 나아가 이 건물에 대해 2001년 4월 6일자로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32호로 지정 보존하는 결정이 내려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2003년 10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이곳에 대해 대대적인 수리보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예전의 모습을 거의 상실하였다.




주요연혁


건립 연도 알 수 없음
1883년 초대 주한전권공사인 푸트(Lucius Harwood Foote)가
미국 공사관 건물로 사용하기위해 민계호(閔啓鎬)의
집을 구입
1906년 미국영사관으로 사용
1952년 영빈관 혹은 대서관저로 사용됨
1970년 미국공보원(미국문화원)으로 전환하여 사용
1972년 부분 증축 및 내부 개조 행랑 부분 증축
2001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제 제132호로 지정
2004년 대대적인 수리 및 보수


HTMLText_0B42C466_11C0_623D_4193_9FAB57A5AC33.html =
___
1900년
한성부지도의 미국공사관
HTMLText_0B4B0DC1_11C0_6277_41A4_201A5BB3F7AE.html =
관련 설명
HTMLText_7DB2E382_7065_343F_41C2_951F708170F1.html =
구미국공사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2호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HTMLText_A7D23FCC_86FF_0099_41C0_BE82A638DEF7.html =
___
1900년
한성부지도의 미국공사관
HTMLText_A7D28FCD_86FF_009B_41BD_938F34592D0C.html =
관련 설명
### Label Label_22BB22F4_3075_D173_41BB_3ACDC6CCCC83.text = 미국공사관 VR Gallary ## Media ### Title album_9B5D6B4F_8677_0197_41D5_93A300D623C0.label = Photo Album 1 map_9DFAF845_859D_0F8B_41C4_59CC42B5AC13.label = 01_미국공사관_평면size panorama_67D6E68B_772D_3CD7_41DC_1632BCF0F8D4.label = 동남 panorama_78401132_772D_1431_41AC_CBC56F87EF22.label = 메인 panorama_78403934_772D_1431_41DC_2C9543FF0D70.label = 문앞 panorama_7840E18B_772D_F4D7_41BB_29EEDBA930E0.label = 창고1 panorama_7840F958_772D_F471_4151_9A155C1F7044.label = 창고2 panorama_784CD90E_772D_35D1_41D4_777A8064F764.label = 계단 panorama_785FA874_772D_1431_41C8_F31F150D2A62.label = 남서 panorama_7885F00A_772D_73D1_41DB_4670CD815C99.label = 북 panorama_788CC7E5_772D_1C53_41C3_9177B0B10907.label = 동북 panorama_7896BFB3_772D_2C37_41C8_05CCA17199B6.label = 동 panorama_78A23081_772D_14D3_41DD_8C184BAD7595.label = 서 panorama_78B1383B_772D_7436_41DC_18142DB32B86.label = 서북 panorama_999190FA_8661_5E70_41C7_A98D73306AB4.label = 지붕 panorama_A393433F_86E7_A3F0_41C6_9D6BB621BFED.label = 파노라마2 panorama_A4A74774_8677_0189_41DE_A318D52EFCAE.label = 서측 통로1 panorama_A6FB475F_86BB_01B7_41D8_4488C4CD765D.label = 방1 panorama_A6FB5809_86BB_0F9B_41C1_FE732C1456D2.label = 거실2 panorama_A6FB75DD_86BB_00BB_41C7_A47BA0124D57.label = 방5 화장실 panorama_A6FB805E_86BB_FFB9_41C9_102661C29598.label = 거실1 panorama_A6FC8F17_86BB_01B7_41D1_3B0EDB534765.label = 방2_1 panorama_A6FC9E7B_86BB_007F_41E0_5D0E09689F0E.label = 화장실 panorama_A6FCB6A0_86BB_0089_41B1_DA8734011C77.label = 방4 panorama_A6FCB6E5_86BB_008B_41D3_3A5E9EF7A3E3.label = 방2_2 panorama_A6FCEDF1_86BB_008B_41CE_18CC311FA079.label = 방5 panorama_A6FCEEB1_86BB_008B_41BF_665BB1332032.label = 방3 panorama_A7422D25_86BB_018B_41D0_F6B0F0A984FB.label = 침실 panorama_A753CFEC_8677_0099_41DD_9DD9B4390779.label = 서측 통로2 panorama_AFC3D070_86DF_BE70_41C0_4820E0BF7BAC.label = 파노라마4 panorama_BC4A9D00_86E7_A790_41DC_DE32B039D705.label = 파노라마3 photo_683D8224_7DEC_9D57_41D1_DD58189CD1C1.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정면전경1 photo_683D8224_7DEC_9D57_41D1_DD58189CD1C1.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정면전경1 photo_683D975F_7DEC_83F1_41DD_24D1CEA47344.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정면전경3 photo_683D975F_7DEC_83F1_41DD_24D1CEA47344.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정면전경3 photo_683DCC82_7DEC_8553_41C3_0198407441B1.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정면전경2 photo_683DCC82_7DEC_8553_41C3_0198407441B1.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정면전경2 photo_683EA342_7DEF_83D3_41C5_EDB146F04AF5.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전경정면우측면 photo_683EA342_7DEF_83D3_41C5_EDB146F04AF5.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전경정면우측면 photo_683EA7BC_7DEF_82B7_41D0_24CC2BFAA9B7.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전경정면6 photo_683EA7BC_7DEF_82B7_41D0_24CC2BFAA9B7.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전경정면6 photo_683EEC0D_7DEF_8551_41C3_F8B9194A3C18.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전경정면5 photo_683EEC0D_7DEF_8551_41C3_F8B9194A3C18.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전경정면5 photo_683EEF5D_7DEF_83F1_41B4_150E2884E9B6.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전경배면우측면2 photo_683EEF5D_7DEF_83F1_41B4_150E2884E9B6.label = 서울유형문화재132_미국공사관_외부_전경배면우측면2 photo_90928107_89D1_FFF9_41DF_F965472860BD.label = 보 사진 copy photo_9B900CB0_8950_A617_41DA_44861E6847B2.label = 주초 copy photo_9C5FD56E_8971_E60B_41DA_CBCAC74DD442.label = 스크린샷 2021-05-20 오후 3.18.12 photo_9D6ADEEA_85A3_E290_41A5_1ADF01A1BC47.label = 스크린샷 2021-05-19 오후 6.17.21 photo_9DFBEC83_89D0_A6F9_41C3_8BDBA4CDC559.label = 보 사진 copy photo_9F0AF84D_89D0_AE09_41D8_8817BDEB0C3B.label = 도리 사진 photo_9F93D5AD_89B3_A609_41DE_570C7CA7B9C3.label = 기단 도면 추가 photo_9FA5C7F4_85E1_A270_41A3_C53711A393F2.label = 지붕 photo_9FB66387_89D1_A2F9_41D2_8C6745F5A340.label = 도리 사진 photo_A0B35365_87FF_018B_41DD_6876CB375ED2.label = 지붕사진 photo_A1DE7928_86A1_AF90_41C2_7C8294F9EE87.label = 미국공사관 지붕 copy ## Popup ### Body htmlText_6559EBCD_7DEC_82D1_41B3_A55CF7F39104.html =
기단은 지면으로부터 건물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지면의 습기를 피할 수 있고 햇빛을 건물 내부에 받아드리는 역할을 한다. 한국건축에서 잘 발달되어 있으며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기단이 높은 편이며 건물의 규모와 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2자에서 5자정도로 한다.
기단 내밀기는 보통 처마보다 안쪽으로 둬서 빗물이 기단위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기단 종류는 재료에 따라서 구분한다.
미국공사관의 기단은 대부분 화강석 장대석을 사용하였다. 기단의 형태는 ㄱ자인 건물 형태를 따라 형성되어있으며, 가옥의 터를 경사지에 마련했기 때문에 정면의 기단이 높고 배면 쪽으로 갈수록 낮게 설치되었다.
공사관의 뒷면인 배면 마당을 둘레로 화강석 장대석 기단을 쌓아 대지를 조성하였다.
전면부 기단 구성을 2단 월대형식으로 하고 배면은 1단, 측면은 가옥의 지형의 경사에 맞춰 자연스럽게 기단을 구성하여 입면 구성에 독특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배면과 좌측면의 경우 2단의 화강석 쌓기로 마감한 후 그 위에 자연석 덤벙 주초를 놓고 방주(方柱)를 세웠다. 전면은 2단의 화강석을 월대 형식으로 2단 쌓기를 한 후에 장대석으로 마감하고 단을 두고서 1단의 장대석 쌓기로 마감 하였다.
미국공사관의 기단은 장대석 기단 전면과 좌측전면은 두벌대 배면과 좌측배면 일부는 2단의 화강석 쌓기를 한 후에 장대석으로 마감하고 단을 두고서 1단의 자연석 쌓기로 마감 하였다.
기단 내밀기는 주심에서부터 전면 및 우측면 1,225㎜ 좌측면 450㎜ 정도이고 높이는 150∼654㎜정도이다. 전면의 기단 상부에는 콘크리트 몰탈과 일부 삼화토 다짐 마감 상태이다.
htmlText_903EEE94_8953_E21F_41DE_2CA7A74C087D.html =
기둥은 지붕의 하중을 지면에 전달하는 수직 구조부재이다. 대들보와 아울러 목조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부재이다. 기둥은 위치, 단면형태, 입면형태 등에 따라 구분된다. 기둥은 일반적으로 위치에 따라서는 외진주와 내진주로 단면형태에 따라서는 원기둥과 각기둥으로, 입면형태 즉 상하의 다듬은 형태로서는 배흘림기둥과 민흘림기둥으로 나뉘고 기둥 하부를 그랭이질 하여 세우게 된다.
기둥을 세울 때에 귀솟음이나 안쏠림을 얼마나 두었느냐에 대한 조사는 전통목조기법에 대한 조사로서 주요한 관심의 대상이 된다. 통상적으로 전통 한식건축에서는 기둥을 세울 때에 우주 쪽을 어칸 평주들보다 약간 길게 하여 귀솟음을 주는 기법을 사용한다. 귀솟음에 대한 조사는 수평기준선을 설정하고 기준선에서부터 상ㆍ하부의 기둥높이를 측정하여 이들 수치를 비교 검토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안쏠림에 대한 조사는 기둥 하부중심과 상부 중심간의 편차를 조사하여 살펴볼 수 있다. 조사된 기둥상부의 쏠림 방과 수치를 보면 채마다 혹은 칸마다 부분적으로 제각각일 정도로 쏠림 방향과 수치가 일정하지 않다. 그리고 하부 주칸과 상부 주칸을 비교해 보면 하부 주칸보다 상부 주칸이 더 넓은 칸이 많으며, 각 면의 전체 주칸도 하부보다 상부의 주칸이 더 넓은 경우가 있다. 이는 가구재들의 변형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안쏠림을 파악하기 어렵다.
미국공사관 건물에는 모두 42개의 기둥이 사용되었다. 42개 기둥 모두 각기둥을 사용하였다. 본래 민씨 가문 소유인 가옥이었던 것을 1884년에 공사관과 공사관저로 개조했던 건물이다. 본채 기둥의 상ㆍ하부 단면 크기는 110∼215㎜으로 다양하게 조사 되었다. 기둥의 평균 직경은 약 160㎜이다. 가장 얇은 기둥은 안채 전면 툇마루에 사용된 기둥으로 직경이 약 110㎜이고, 가장 굵은 기둥은 안채 전면 출입구 우측면 기둥으로 직경이 약 203㎜이다.
미국공사관 기둥 기울기를 보면 정면의 경우 동남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나, 상세히 살펴보면 좌측은 서북쪽으로 우측은 동남쪽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거실의 경우에는 서남쪽으로 기둥이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옥이 전체적으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htmlText_90947413_82A6_A5B0_41DE_3B5CF979896A.html =
기둥은 지붕의 하중을 지면에 전달하는 수직 구조부재이다. 대들보와 아울러 목조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부재이다. 기둥은 위치, 단면형태, 입면형태 등에 따라 구분된다. 기둥은 일반적으로 위치에 따라서는 외진주와 내진주로 단면형태에 따라서는 원기둥과 각기둥으로, 입면형태 즉 상하의 다듬은 형태로서는 배흘림기둥과 민흘림기둥으로 나뉘고 기둥 하부를 그랭이질 하여 세우게 된다.
기둥을 세울 때에 귀솟음이나 안쏠림을 얼마나 두었느냐에 대한 조사는 전통목조기법에 대한 조사로서 주요한 관심의 대상이 된다. 통상적으로 전통 한식건축에서는 기둥을 세울 때에 우주 쪽을 어칸 평주들보다 약간 길게 하여 귀솟음을 주는 기법을 사용한다. 귀솟음에 대한 조사는 수평기준선을 설정하고 기준선에서부터 상ㆍ하부의 기둥높이를 측정하여 이들 수치를 비교 검토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안쏠림에 대한 조사는 기둥 하부중심과 상부 중심간의 편차를 조사하여 살펴볼 수 있다. 조사된 기둥상부의 쏠림 방과 수치를 보면 채마다 혹은 칸마다 부분적으로 제각각일 정도로 쏠림 방향과 수치가 일정하지 않다. 그리고 하부 주칸과 상부 주칸을 비교해 보면 하부 주칸보다 상부 주칸이 더 넓은 칸이 많으며, 각 면의 전체 주칸도 하부보다 상부의 주칸이 더 넓은 경우가 있다. 이는 가구재들의 변형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안쏠림을 파악하기 어렵다.
미국공사관 건물에는 모두 42개의 기둥이 사용되었다. 42개 기둥 모두 각기둥을 사용하였다. 본래 민씨 가문 소유인 가옥이었던 것을 1884년에 공사관과 공사관저로 개조했던 건물이다. 본채 기둥의 상ㆍ하부 단면 크기는 110∼215㎜으로 다양하게 조사 되었다. 기둥의 평균 직경은 약 160㎜이다. 가장 얇은 기둥은 안채 전면 툇마루에 사용된 기둥으로 직경이 약 110㎜이고, 가장 굵은 기둥은 안채 전면 출입구 우측면 기둥으로 직경이 약 203㎜이다.
미국공사관 기둥 기울기를 보면 정면의 경우 동남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나, 상세히 살펴보면 좌측은 서북쪽으로 우측은 동남쪽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거실의 경우에는 서남쪽으로 기둥이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옥이 전체적으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htmlText_9186A8F7_82A2_AE70_41D1_921070503D1B.html =
초석은 주초라고도 한다. 기둥 밑에 놓여 기둥에 전달되는 지면의 습기를 차단해주고 건물 하중을 지면에 효율적으로 전달 해주는 역할을 한다. 가공 여부와 모양에 따라 분류하며, 여러 이름으로 부른다. 자연석을 이용한 자연석 초석과 가공 초석, 자연석 초석을 덤벙 주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사용 위치에 따라 이름을 달리 부른다. 평주 초석, 고주 추석, 동바리 초석, 활주 초석 등 기둥 이름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여 부른다.
미국공사관 사용된 초석은 형태나 크기가 매우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전체적인 형태는 방형과 원형으로 나눠지며, 이는 자연석을 사용하여 그 형태가 균일하거나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공사관에 사용된 초석은 아래와 같이 대표적으로 26개의 초석을 조사하였다.
htmlText_982D506C_85AF_BD90_41DC_0F0B30528AF9.html =
도리는 서까래 바로 밑에 가로로 길게 놓인 부재이며, 지붕의 하중을 가장먼저 받는 부분이다. 단면의 형태와 놓이는 위치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 장여는 도리 밑에 놓인 도리받침부재로 도리에 비해 폭이 좁으며 도리와 함께 서까래의 하중을 분담한다. 특히 장여의 폭은 수장재의 폭과 일치하기 때문에 다른 부재들의 상대치수를 표기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장여 폭을 수장폭 이라고도 한다.
미국공사관에 사용된 도리는 반침도리, 상종도리, 적심도리, 주심도리, 하종도리가 사용되었으며 아래채는 반침도리, 적심도리, 주심도리가 사용되었다. 형태는 굴도리, 납도리 모두 사용되었다. 건물에 사용된 반침도리는 122㎜×130㎜, 상종도리는 단면이 원형이 굴도리로 ∅120㎜와 ∅150㎜, 적심도리는 ∅120㎜, 주심도리는 143∼180㎜×202∼225㎜, 하종도리는 150㎜×150㎜이다. 아래채에 사용된 반침도리는 83㎜×103㎜, 적심도리는 단면이 원형이 굴도리로 ∅120㎜, 주심도리는 139㎜×179㎜, 148㎜×180㎜이다. 미국공사관에 사용된 장여 크기는 80∼84㎜×143∼156㎜이다.
htmlText_98C76CD0_85A1_A6B0_41A7_5F8B8246A3E5.html =
보는 건물 앞뒤 기둥을 연결하는 수평구조부재이다. 수직 구조부재로 가장 중요한 것이 기둥이라면 수평 구조부재로 가장 중요한 것이 보이다. 보는 위치와 쓰임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며 구조가 복잡해지면 한 건물에서 여러 종류의 보가 동시에 사용되기도 한다.
미국공사관 건물은 3량가 및 5량가로 구성되어 있다. 대량, 종량, 충량이 사용되었다. 대량의 단면은 너비보다 춤이 긴 장방형의 아래 두 모서리를 둥근 모접기한 형태이다. 전체적인 입면은 중앙부를 약간 위로 휘어 오르게 다듬어 만들었다. 보머리는 크기를 줄여 내밀고 상면을 경사지게 다듬은 후 마구리를 단순하게 직절한 형태로 되어 있다.
단면 크기 폭은 거실 우측 첫 번째 대량에서 287㎜로 가장 크고, 침실 칸에 사용된 대량에서 181㎜로 가장 작다. 춤은 우측 두 번째 대량에서에서 354㎜로 가장 크고, 침실 칸에 사용된 대량에서 230㎜로 가장 작다. 폭의 용척 환산은 최대가 0.94척, 최소가 0.59척이고, 춤은 최대가 0.60척, 최소가 0.52척으로 조사되었다. 보머리를 포함한 최대길이는 3,953㎜로 용척으로 환산하면 13.04척이다.
htmlText_996414D0_8661_66B0_41D7_41FDA756C240.html =
도리는 서까래 바로 밑에 가로로 길게 놓인 부재이며, 지붕의 하중을 가장먼저 받는 부분이다. 단면의 형태와 놓이는 위치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 장여는 도리 밑에 놓인 도리받침부재로 도리에 비해 폭이 좁으며 도리와 함께 서까래의 하중을 분담한다. 특히 장여의 폭은 수장재의 폭과 일치하기 때문에 다른 부재들의 상대치수를 표기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장여 폭을 수장폭 이라고도 한다.
미국공사관에 사용된 도리는 반침도리, 상종도리, 적심도리, 주심도리, 하종도리가 사용되었으며 아래채는 반침도리, 적심도리, 주심도리가 사용되었다. 형태는 굴도리, 납도리 모두 사용되었다. 건물에 사용된 반침도리는 122㎜×130㎜, 상종도리는 단면이 원형이 굴도리로 ∅120㎜와 ∅150㎜, 적심도리는 ∅120㎜, 주심도리는 143∼180㎜×202∼225㎜, 하종도리는 150㎜×150㎜이다. 아래채에 사용된 반침도리는 83㎜×103㎜, 적심도리는 단면이 원형이 굴도리로 ∅120㎜, 주심도리는 139㎜×179㎜, 148㎜×180㎜이다. 미국공사관에 사용된 장여 크기는 80∼84㎜×143∼156㎜이다.
htmlText_9ABA8E4F_86A3_E590_4192_1F1A748912CD.html =
미국공사관에는 기본적으로 수키와와 암기와 , 수막새 및 암막새가 사용되었고, 장식기와로는 망와만 사용되었다. 다른 건물과 다르게 와구토 마감과 막새 마감이 같이 사용 되었다. 처음과 끝 부분은 막새로 마감하고 와구토로 마감 처리 하였다.
미국공사관 지붕에 사용된 바닥기와인 암기와의 크기는 평균 길이 360㎜, 폭 300㎜ 두께 21㎜, 높이 76㎜이고, 수키와의 경우 언강 42㎜의 길이를 포함한 전체 길이가 약 342㎜이고, 폭은 150㎜, 두께는 21㎜ 높이는 75㎜로 조사 되었다.
미국공사관 건물의 지분의 처마의 끝에서 바닥기와와 앞으로 막새기와를 이용하여 기와 잇기를 하였다. 막새기와는 바닥기와와 비스하게 암막새기와와 수막새기와로 구분한다. 막새기와는 처마 끝에서 빗물이 안으로 들오는 것을 막아서 서까래 및 목부재를 보호하는 것과 드림에 문양을 넣어 벽사 및 장식의 기능을 한다. 미국공사관 건물에 사용된 막새의 문양을 살펴보면 암막새 좌측면에는 2003, 우측면에는 미대사관저 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막새기와의 크기는 암막새의 경우 드림을 제외한 길이가 약 285㎜, 폭은 150㎜이며 드림의 길이는 약 168㎜ 높이는 147㎜ 정도이며 두께는 31㎜로 조사 되었다. 수막새의 경우 드림을 제외한 길이가 약 234㎜, 폭은 146㎜이며 드림새의 길이는 약 159㎜ 높이는 135㎜ 정도이며 두께는 21㎜로 조사 되었다. 미국공사관에 사용된 망와는 크게 4종류 이다. 크기는 전체 길이는 약 448㎜, 너비는 263~276㎜, 높이는 158~222㎜, 두께는 약 24㎜로 조사 되었다.
htmlText_9C6E2F60_8951_A237_41D0_BD72A9FFCB5A.html =
초석은 주초라고도 한다. 기둥 밑에 놓여 기둥에 전달되는 지면의 습기를 차단해주고 건물 하중을 지면에 효율적으로 전달 해주는 역할을 한다. 가공 여부와 모양에 따라 분류하며, 여러 이름으로 부른다. 자연석을 이용한 자연석 초석과 가공 초석, 자연석 초석을 덤벙 주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사용 위치에 따라 이름을 달리 부른다. 평주 초석, 고주 추석, 동바리 초석, 활주 초석 등 기둥 이름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여 부른다.
미국공사관 사용된 초석은 형태나 크기가 매우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전체적인 형태는 방형과 원형으로 나눠지며, 이는 자연석을 사용하여 그 형태가 균일하거나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공사관에 사용된 초석은 아래와 같이 대표적으로 26개의 초석을 조사하였다.
htmlText_9F529F75_85A6_A270_41DF_E1EBD7624195.html =
보는 건물 앞뒤 기둥을 연결하는 수평구조부재이다. 수직 구조부재로 가장 중요한 것이 기둥이라면 수평 구조부재로 가장 중요한 것이 보이다. 보는 위치와 쓰임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며 구조가 복잡해지면 한 건물에서 여러 종류의 보가 동시에 사용되기도 한다.
미국공사관 건물은 3량가 및 5량가로 구성되어 있다. 대량, 종량, 충량이 사용되었다. 대량의 단면은 너비보다 춤이 긴 장방형의 아래 두 모서리를 둥근 모접기한 형태이다. 전체적인 입면은 중앙부를 약간 위로 휘어 오르게 다듬어 만들었다. 보머리는 크기를 줄여 내밀고 상면을 경사지게 다듬은 후 마구리를 단순하게 직절한 형태로 되어 있다.
단면 크기 폭은 거실 우측 첫 번째 대량에서 287㎜로 가장 크고, 침실 칸에 사용된 대량에서 181㎜로 가장 작다. 춤은 우측 두 번째 대량에서에서 354㎜로 가장 크고, 침실 칸에 사용된 대량에서 230㎜로 가장 작다. 폭의 용척 환산은 최대가 0.94척, 최소가 0.59척이고, 춤은 최대가 0.60척, 최소가 0.52척으로 조사되었다. 보머리를 포함한 최대길이는 3,953㎜로 용척으로 환산하면 13.04척이다.
htmlText_A08BD794_8795_0089_41BF_F14330210D20.html =
집무실에 대한 정
htmlText_A38E35B9_879B_00FB_41E0_00F5692B5316.html =
지붕은 눈비를 막아주고 햇볕을 차단하여 건물 내부의 생활환경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붕은 매우 크고 육중하며 전체 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지붕의 조형성은 기능 못지않게 가옥의 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미국공사관 건물의 지붕은 전체적으로 ㄱ자형으로 정면은 팔작지붕이고, 측면은 ㅡ자형 맞배지붕으로 정면보다 낮게 연결되어 있다. 미국공사관 정면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용마루 착고 부고 위 적새 5단을 올리고 숫마루장을 올렸고, 내림마루와 추녀마루는 모두 착고 위 적새 3단을 올리고 숫마루장을 올렸다. 기와 끝부분은 와구토 마감하였다. 하지만 시작과 마무리 부분 두 곳은 명문이 새겨진 막새를 이용하여 마감 하였다.
측면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용마루 착고 부고 위 적새 3단을 올리고 숫마루장을 올렸고, 내림마루 착고 위 적새 3단을 올리고 숫마루장을 올렸다. 기와 끝부분은 와구토 마감하였다. 하지만 정면 지붕과 마찬가지로 시작과 마무리 부분 두 곳은 명문이 새겨진 막새를 이용하여 마감 하였다.
### Title window_903E4DC7_89D0_6679_41D4_85DBD0B14472.title = 보 window_903EBE94_8953_E21F_41D9_8D18988CF927.title = 기둥 window_90F3CF1C_8950_A20F_41CB_55047644EB08.title = 기단 window_933E7869_8970_AE09_41D8_E37C1BCD2AAD.title = 도리 window_937DED28_897F_A637_41C4_DA4014EED87F.title = 도리 window_9C6E7F5F_8951_A209_41E0_7612CF2B58CC.title = 초석 window_9C704164_895F_FE3F_41CE_01244792079E.title = 초석 window_9D0E7E3A_89F1_A20B_41CF_42A6A54485B7.title = 보 window_9EB21F42_85A3_6390_41C6_5B71C57D4C52.title = 지붕 window_A20081E2_86DF_BE90_41BB_9D82A4646668.title = 기와 window_A9CDA432_86A1_A5F0_415F_98E066E6D55C.title = 기둥 ## Hotspot ### Tooltip HotspotMapOverlayArea_9231D667_8595_0397_41C5_223490CF7C6D.toolTip = 동북측 HotspotMapOverlayArea_923BF605_8597_038B_41C5_B16BC5B663DA.toolTip = 서측 HotspotMapOverlayArea_925F4EE5_8597_008B_41E0_2C7C4AAE9FDF.toolTip = 계단 HotspotMapOverlayArea_926E9CF1_8595_008A_41AD_01AB8C5F0CE7.toolTip = 문 HotspotMapOverlayArea_928ACCB8_8597_00F9_41C9_6528F81790DA.toolTip = 서북측 HotspotMapOverlayArea_92B510DC_8595_00B9_41C2_59E7BE1A1FC0.toolTip = 동축 HotspotMapOverlayArea_930F3352_859B_0189_41CA_701F2E070E79.toolTip = 입구 HotspotMapOverlayArea_9D19CAF3_8595_008F_41C7_D331E584E45F.toolTip = 동 HotspotMapOverlayArea_9D8CFB93_8597_008F_41D4_457F10EDA49B.toolTip = 서남측 HotspotMapOverlayArea_9DA0BB0B_8595_019F_41D6_75327E808FE5.toolTip = 북측 HotspotMapOverlayArea_A012F5A5_878D_008B_41D8_187564B43579.toolTip = 주방1 HotspotMapOverlayArea_A291BCBF_879D_00F7_4199_DAF9304EA054.toolTip = 창고2 HotspotMapOverlayArea_A3B7A5DF_878F_00B7_41D9_5004F8FDE985.toolTip = 방 HotspotMapOverlayArea_A3EA6017_878D_3FB7_41D7_539C399EF96E.toolTip = 식탁 HotspotMapOverlayArea_A44E9FA0_878B_0089_41D6_C85F545DABC2.toolTip = 집무실 HotspotMapOverlayArea_A456D0BF_878D_00F7_418A_8B9CD964A960.toolTip = 화장실 HotspotMapOverlayArea_A4A58AB3_8675_008F_41DE_B71B10D02E50.toolTip = 거실1 HotspotMapOverlayArea_A53D5646_8795_0389_41C6_6C653FA2BCC9.toolTip = 화장실 HotspotMapOverlayArea_A55F1259_878D_03BB_41D3_2C50C906D0F5.toolTip = 통로 HotspotMapOverlayArea_A58A39E3_878B_008F_41E0_3938EB48743E.toolTip = 통로 HotspotMapOverlayArea_A5A0252E_8675_0199_41D3_B65F2E73C02D.toolTip = 거실2 HotspotMapOverlayArea_A5A97B1F_879D_01B7_41D8_10123BAFF474.toolTip = 창고1 HotspotMapOverlayArea_A5B52FF1_8795_008B_41D0_6F067AA08E9E.toolTip = 침실 HotspotMapOverlayArea_A5C4D1AF_878D_0097_41D4_AEAEEFDDBE41.toolTip = 주방2 HotspotPanoramaOverlayArea_62604DCE_7779_C7B7_41A5_C4B1E0B2D649.toolTip = 창고 HotspotPanoramaOverlayArea_63864607_777F_44B5_41D2_9851B5C7E8C5.toolTip = 창고 HotspotPanoramaOverlayArea_65A5B82E_7DEC_8D53_41DD_A58095897CED.toolTip = 기단 HotspotPanoramaOverlayArea_989804CF_8661_6690_41DA_36FA226EFE0F.toolTip = 도리 HotspotPanoramaOverlayArea_98C6CCD0_85A1_A6B0_41DF_BABDDAD061A1.toolTip = 보 HotspotPanoramaOverlayArea_9ABA2E4E_86A3_E590_41CF_B53134E8C14A.toolTip = 기와 HotspotPanoramaOverlayArea_9F3035E5_85AF_6690_41CB_84D27C234075.toolTip = 도리 HotspotPanoramaOverlayArea_9F911219_85A6_FDB0_41D0_9FADB7C7649E.toolTip = 보 HotspotPanoramaOverlayArea_A0869029_86E6_BD90_41E0_729868782F9A.toolTip = 문 HotspotPanoramaOverlayArea_A36D6F22_8795_0189_4196_F38B70CF9556.toolTip = 화장실 HotspotPanoramaOverlayArea_A3BF8FC4_8795_0089_41A4_390D2ED203AC.toolTip = 집무실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2C7373_8697_018F_41CF_3AD8049524B1.toolTip = 통로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66C9A4_869B_0089_41D6_D841A4D74E30.toolTip = 테이블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707506_8697_0189_41D4_ED5F3C37AC87.toolTip = 통로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73C598_868B_00B9_41C8_6FDF23FE1930.toolTip = 화장실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789479_8695_007B_41C9_32A942B09044.toolTip = 방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903B38_8675_01F9_41E0_BD9F9F7EA699.toolTip = 통로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A71BFF_867B_0077_41A7_C8C3FE00F414.toolTip = 화장실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A831F4_867D_0089_41CE_DF4669ED94A5.toolTip = 침실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BB1DE3_8675_008F_41D1_191D22D63ACD.toolTip = 통로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BB3DE3_8675_008F_41D5_097EFAE33134.toolTip = 주방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BB7DE3_8675_008F_41D2_6902AD8CBF1D.toolTip = 통로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BBCDE3_8675_008F_41DE_BDBCF34FF089.toolTip = 거실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BBEDE4_8675_0089_41D9_875AA06F11E3.toolTip = 거실 HotspotPanoramaOverlayArea_A4F453C5_867F_008B_41D8_116DE449826D.toolTip = 집무실